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1종 자동 면허 갱신, 도입과 발급 시행 일정 알아보기

by 그린웨이 2023. 3. 14.

2023년에 바뀌는 도로교통 정책 중 하나가 바로 1종 자동 면허입니다. 그동안은 1종 보통, 1종 대형만 있었는데 1종 자동이라고요? 생소하실 분들이 많이 계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1종 자동 면허란 무엇이며 언제 갱신할 수 있는지, 언제 정책이 도입되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1. 1종 자동 면허란? 왜 생기는 걸까?

1종 자동면허는 '자동변속기 조건부 1종 보통면허'를 줄여서 말하는 것입니다.

 

 현재 1종 보통 면허를 가지고 있으면 11~15인승 승합차를 운전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2종 보통(2종 자동 변속기 보통) 면허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11인승 이상의 승합차를 운전할 수 없었습니다.

 

 친구들 여러 명이서 여행을 가려고 11인승 승합차를 빌릴 때, 2종 면허를 가지고 있는 친구들은 운전자로 등록할 수 없었습니다. 1종 보통을 가지고 있는 사람만 가능했죠. 아니, 어차피 11인승도 오토인데 왜? 하는 생각이 들곤 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캠핑 등이 보편화되면서 사람들이 대형 승합차를 운전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11~15인승 승합차를 운전하려면 수동 조작법을 익혀서 1종 보통을 따야 했죠. 아마도 이런 불편함 때문에 1종 자동 면허를 도입하는 것 같습니다.

 

 1종 자동 면허가 있으면 자동변속기가 달려있는 11~15인승 승합차, 12톤 미만 화물차, 3톤 미만 건설 기계 등을 운전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현행 면허별 운전 가능한 차량>

종류 1종 보통 2종 보통
승용차 모든 차량 모든 차량
승합차 15인 이하 10인 이하

 

 

2. 1종 자동 면허 도입 시기, 갱신 방법

1) 도입 시기

경찰청은 올해 하반기 중에 도로교통법을 개정해 내년 하반기부터 도입, 실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면허를 도입하려면 법을 개정해야합니다. 또 전국에 있는 수많은 운전면허 학원에도 스틱 차량이 아닌 오토 차량이 필요하겠죠?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 같습니다.  현재는 2024년에는 일부 면허시험장에 도입하고 2025년쯤 본격 시행 예정이라고 합니다. 

 

 

2) 갱신 방법

 1종 자동 면허가 도입되면 기존에 2종 자동 면허를 가지고 있던 사람은 아래 조건을 만족할 때 갱신할 수 있다고 합니다.

 

첫째: 운전 경력이 7년 이상

둘째: 7년간 무사고

 

위 사항을 충족하고 운전면허시험장에서 별도로 신청하면 시험 없이 1종 자동면허로 갱신할 수 있게 해주는 게 현재의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직 시행 전이고 언제든 바뀔지도 모르는 것이니 향후 보도자료를 눈여겨봐야할 것 같습니다. 만약 이대로 시행된다면 면허 갱신에 드는 약간의 비용만 내면 되니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2종 면허를 가지고 있는 분이라면 무사고 기간이나 내역을 살펴보는 게 좋겠습니다. 경찰청 교통민원24(이파인) 홈페이지에 가시면 '7년 무사고 내역'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청 교통민원24 홈페이지 바로가기

 

 

 

3. 정리

 

그동안의 면허 제도는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자동변속기를 단 차량이 보편화되었음에도 1종 자동 면허를 따려면 수동 기어를 배워야 했습니다. 이제는 승합차를 몰 때도 1종 자동만 있으면 되니 조금 더 편리하게 바뀔 것 같습니다.

 

 1~2년 뒤에 새롭게 운전면허를 따실 예정이라면, 11인승 이상의 승합차도 언젠가 몰고 다니실 거라면 1종 자동을 선택하시면 수월할 것 같습니다. 빠른 시일 내로 신속하게 도입되면 좋겠습니다. 

 

 

댓글